본문 바로가기
  • 痛飮大快
  • 통음대쾌
음풍농월

고사리 시즌

by jebi1009 2022. 4. 26.

어렴풋 트로트 음악이 들려오는 것을 보니 고사리 시즌이 본격 시작된 듯싶다.

간청재 주변 산비탈 고사리 밭이 많다.

몇 자루씩 고사리를 꺾는 분들은 트로트 음악을 틀어 놓고 하시는 경우가 있어 이맘때 들을 수 있는 배경 음악이다.

나도 두 번 고사리를 꺾었다.

우리 집 고사리는 그냥 야생 고사리 수준이라서 양도 얼마 되지 않고 풀 때문에 몇 번 꺾지도 못한다.

그렇게 서너 번 꺾은 고사리는 대부분 서울로 보낸다.

용가리와 나는 생선 조림할 때 두어 번 고사리를 넣어 먹는 것이 전부다.

용가리는 고사리 싫어한다. 내가 먹으니 그저 조금 거들뿐...

서울에서 고사리를 받는 엄마는 그렇게 좋아하시며 친한 친구분께만 아껴가며 나눠 주신다고 하니

잡초밭 헤치며 고사리 끊는 것을 그만 둘 수가 없다. 기타 등등 다른 분들도 그렇고...

나의 고사리 선물은 60대 이상에게만 한다.

사실 고사리는 장만해서 조리하기까지 그렇게 손쉽지 않기 때문이다.

귀차니즘이들에게는 오히려 부담이다.

 

고사리 꺾어와 솥단지 걸고 불 지피고 삶는다. 삶은 고사리는 서너 번 물에 깨끗하게 헹군다.
볕이 좋으면 하루에도 바짝 마른다. 우리는 대부분 오후에 삶게 되기 때문에 이틀은 말려야 한다.

 

지금은 매발톱이 피고 있다.

창고문 앞에 어쩌다 자리 잡게 된 아이들이 제일 먼저 꽃을 피운다.

문에 치이는 것이 안타까워 옮겨줄까도 했지만 돌 틈에 자라나 파 내기도 쉽지 않다.

문 위로 올라오는 줄기는 잘라준다. 

어느새 낡아버린 창고 문짝과 묘하게 어울리는 느낌이다.

 

창고 벽 밑에도 또 자리 잡았다.
앞마당 매발톱

한차례 풀을 뽑고 나니 더덕이 드러난다.

이쁘다. 더덕꽃도 이쁘지만 이렇게 잎만 봐도 이쁘다.

우리 집 도라지나 더덕은 관상용이다. ㅎㅎㅎ

 

더덕
도라지
풀 뽑다 바라보니 어쩜 이렇게 완벽하게 동그랗지? 입으로 후~~
씨앗을 늦게 심었는지 아직도 이만큼밖에 자라지 않았다. 적당한 시기에 모종으로 옮겨 심을 수 있을까..ㅠㅠ

어제는 지난번 남겨 두었던 엄나무순을 부쳐 먹었다.

살짝 데쳐서 초고추장이나 쌈장에 찍어 먹어도 맛있지만 기름에 고소하게 지져 먹는 것도 맛나다.

 

 

 

오늘은 비님이 오시니 밖에서 호미 휘두르며 땀 흘리지 않고 이렇게 끄적대며 놀고 있다.

 

'음풍농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근두근  (0) 2022.05.15
마음이 비료  (0) 2022.05.05
모두가 제각각  (0) 2022.04.17
달래  (0) 2022.04.12
꽃 구경  (0) 2022.04.06